유형자산을 취득 한 후, 자산을 위한 지출이 발생하는 일들이 있습니다.
취득 후 발생하는 지출에 대해서는 무조건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은 아니고
그 내용, 특성에 맞게 자산 혹은 비용으로 구분하여 처리합니다.
자산으로 처리하는 것을 <자본적 지출> 이라고 하며,
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을 <수익적 지출> 이라고 합니다.
팁을 드리자면, 시험 문제의 내용 중
자산의 내용연수 증가, 생산량의 증대 라는 말이 들어가면 '자본적 지출' 로 처리하면 되고
자산의 현상유지, 원상회복 과 같은 말이 들어가면 '수익적 지출'로 처리하면 됩니다.
아래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.
자본적 지출 |
자산의 내용연수 증가, 생산량의 증대 예) 엘리베이터의 설치, 건물의 증축, 중앙냉난방장치의 설치, 용도 및 설계변경 (리모델링) 등
(차변) 해당자산 100 / (대변) 현금 100
|
수익적 지출 |
자산의 현상유지, 원상회복
예) 유리창의 교환, 페인트 칠, 부품교체, 자동차 부품교체 등
(차변) 수선비 100 / (대변) 현금 100 (참고로, 차량에 대한 수익적 지출은 차량유지비 계정을 사용한다)
|
위 내용으로 다시 예를 들어보자면,
회사 차량의 엔진을 교체했다 : 차량운반구 (자산) 계정 사용
회사 차량의 엔진오일을 교체했다 : 차량유지비 (비용) 계정 사용
회사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했다 : 건물 (자산) 계정 사용
회사 건물에 유리창을 교체했다 : 수선비 (비용) 계정 사용
* 자본적 지출로 처리해야 하는 건을 수익적 지출로 잘못 처리했을 경우
: 자산감소 - 비용증가 - 당기순이익감소 - 이익잉여금감소 - 자본감소
* 수익적 지출로 처리해야 하는 건을 자본적 지출로 잘못 처리했을 경우
: 비용감소 - 자산증가 - 당기순이익증가 - 이익잉여금증가 - 자본증가
(참고! 자본금, 매출총이익, 부채 에는 변화 없습니다.)
'회계·세무 정보 > 재무회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채의 항목(종류)에 대해 알아보자 (유동부채, 비유동부채) (0) | 2018.04.30 |
---|---|
퇴직급여, 퇴직급여충당부채 분개방법 (확정기여 DC형 확정급여 DB형) (0) | 2018.04.30 |
무형자산 이란 / 무형자간의 감가상각 (2) | 2018.04.29 |
유형자산처분손실, 처분이익 분개방법 (건물 철거시 등) (1) | 2018.04.29 |
유형자산의 처분 (자발적/비자발적) (3) | 2018.04.28 |
유형자산의 평가 (감가상각) (0) | 2018.04.26 |
자산의 교환 (동종자산, 이종자산 간의 교환) (0) | 2018.04.25 |
건물이 포함된 토지의 취득 (건물 철거시) (0) | 2018.04.24 |